맨위로가기

순창 설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창 설씨는 신라 6부 촌장 중 한 명인 설거백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경주를 본관으로 하다가 고려 시대에 설자승이 순화백에 봉해지면서 순창을 본관으로 분관했다. 주요 인물로는 설신의 아들 설공검, 설지충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2명, 무과 급제자 3명, 사마시 13명을 배출했다. 순평군의 부인이 순창 설씨이며, 참판공파, 문숙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뉜다. 2015년에는 약 3만 5천 명의 인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창 설씨 - 설기현
    설기현은 2002년 월드컵 이탈리아전 동점골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유럽 및 아시아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A매치 82경기 19골을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대학 및 프로팀 감독을 역임했다.
  • 순창 설씨 - 설훈
    설훈은 1953년생으로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김대중 비서로 정치에 입문하여,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제16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과 새로운미래 상임고문을 지냈다.
순창 설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순창 설씨의 종문
성씨순창 설씨
한자淳昌 薛氏
나라한국
관향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시조설거백(薛居伯)
중시조설자승(薛子升)
집성촌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금과면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가산리
경상남도 의령군 봉수면 서득리
함경남도 단천군 아다면 연대리
함경남도 이원군 동면 신풍리
년도2015년
인구35,825명
비고경주·순창설씨 대종회
주요 인물
인물설서당
설총
설신
설공검
설인검
설지충
설위
설계조
설진영
설정식
설창수
설인수
설동근
설동호
설훈
설범식

2. 기원

시조인 '''설거백'''(薛居伯:호진(虎珍))은 기원전 57년 박혁거세의 탄생 설화에 나오는 6부 촌장 중 한 사람이다. 진한(辰韓) 땅이었던 명활산 고야촌(明活山 高耶村: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면)의 촌장으로 나머지 5촌장과 함께 박혁거세를 신라 초대왕으로 추대해 신라를 세웠다. 32년(유리왕 9)에 6촌이 6부로 개칭되면서 명활산 고야촌도 습비부(習比部)로 개칭하고 2대 설지덕(薛支德)이 설씨로 사성(賜姓)받았다. 그 후 설거백(薛居伯)은 516년(법흥왕 3) 무신공(武信公)으로 시호(諡號)를 받았고, 무열왕 때에 장무왕(壯武王)으로 추봉되었다.

3. 역사

설거백을 시조로 받들고 경주를 본관으로 세계를 이어오다가 36세손 '''설자승'''이 1124년(고려 인종 2) 호부시랑(戶部侍郎)이 되고 순화백(淳和伯)에 봉해지자 본관을 순창으로 분관하였다.

설자승의 증손자 설신(薛愼)은 20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1216년(고종 3) 함풍현(咸豐縣)의 감무(監務)로 나가 치적을 쌓아 포상을 받고, 경상도안찰사(慶尙道按察使)·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판예빈성사(判禮賓省事)·국자감대사성(國子監大司成)·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등을 지내고, 1251년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형부상서(刑部尙書)에 이르렀다. 그의 8형제 가운데 3형제가 과거에 급제하여 어머니 조씨(趙氏)가 국대부인(國大夫人)에 봉해졌다.

설신의 아들 설공검(薛公儉, 1224년 ∼ 1302년)은 고려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감찰대부(監察大夫)·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참리(參理)를 거쳐 찬성사(贊成事)와 중찬(中贊)으로 치사(致仕)했다. 시호는 문량(文良)이고, 충렬왕묘(忠烈王墓)에 배향(配享)되었다.

설공검의 아들 설지충(薛之冲)은 충렬왕 때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역임하였다.

설지충의 증손인 중랑장(中郞將) 설응(薛凝)의 아들 설위(薛緯)는 1419년(세종 1년) 식년시(式年試) 동진사(同進士) 1위로 급제하여 만경현령을 거쳐 성균관대사성에 이르렀다.

4. 본관

순창(淳昌)은 전라북도 남부 중앙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백제 때 도실군(道實郡)이었는데, 신라가 통일한 후 757년(경덕왕 16) 순화군(淳化郡)으로 고쳤고, 940년(고려 태종 23) 순창(淳昌)으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5. 분파


  • 참판공파(參判公派)
  • 문숙공파(文肅公派)
  • 참의공파(參議公派)
  •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옥천군파(玉川君派)
  • 군수공파(郡守公派)
  • 삼지당공파(三知堂公派)

6. 과거 급제자

wikitext

순창 설씨 과거 급제자[1]
이름
문과설경관, 설위
무과설관징, 설시민, 설언창
생원시설거일, 설경옥, 설규징, 설당, 설세옥, 설언룡, 설욱준, 설원개, 설정, 설휘
진사시설관도, 설만동, 설장영
율과설방보


7. 왕실과의 인척 관계

조선 정종의 서자 순평군의 비는 군부인 순창 설씨이다.[1]

8. 항렬자

순창 설씨 항렬표 (시조로부터 1세)
60세61세62세63세64세65세66세67세68세69세70세71세72세73세74세75세76세77세78세79세


9. 집성촌


10.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5,863가구24,181명
2000년8,607가구27,926명
2015년35,825명17,917명17,908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